paranormal initiation 
2023

Yoonseo Lee 

Digital, 7 min 7 seconds, Color, Silence. 

The video on the left is made of scenes that represent love in the cinema language. How do you express love in a cinema when its nature is ‘show, not tell’? Instead of saying “I love you”, they constantly stare into each other's eyes (Beau Travail), give presents to each other (Mädchen in anomaly, DEBS), confess one’s secret love affair in the hole from the temple wall and then covering it(In the mood for love), put shoes on others feet(Thirst, Stoker), sexual love shown in the form of sadism/masochism and violence(Firework, Titane), physically break things that oppress other(The Handmaiden), and archive the memory of love(Portrait of a Lady on Fire, Love Letter, After Sun). What can be read in a video compilation without any colloquial explanation is not a horizontal plot, but a sense and feeling of love, that is, affect (情動). Love lets us give gifts, leave records, and be mercilessly violent. 

Text on the blue screen, which alternately appears with the image, is edited by revising the poem. The narrator takes a journey home and experiences things that cause the body to wince- hands with holes, people who look dead but not, unpleasant flight with no guaranteed safety. There are situations that constantly fail the narrator. In this terrible irony, what the speaker desires is love. "I want to write things that I remember about you”,  but they can't because there are too many holes in their hand. 

What synergy occurs through the intersection of video and text?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at there are people who take a detour to their destination. Calum from After Sun in the last shot stops recording with his camcorder, turns around, saying goodbye in an alternative space while the text on the right side talks about the impossibility of writing about the person that they love. After the journey of detour, the characters and speakers fail to reach their goal. The video ends first then the text ends later. While consuming both at the same time, time difference occur in the space. 


초자연 이니시에이션 
2023

이윤서

디지털, 7분 7초, 컬러, 무성. 


왼쪽의 콜라주 영상은 시네마에서 사랑을 나타내는 장면들을 가져와 편집했다. 말하지 말고 보여주는 것이 숙명인 시네마에서는 사랑을 어떻게 표현하는가? 사랑한다고 말을 하는 대신에 서로의 눈을 끊임없이 응시하고(Beau Travail), 선물을 하는 제스처(Mädchen in uniform, DEBS), 차마 남들에게 밝힐 수 없는 사랑을 사원 벽에 뚫린 구멍에 담고 막아버리기(In the mood for love), 신발 신겨주기(Thirst, Stoker), 파괴와 폭력으로 드러나는 성애(Firework, Titane), 타인을 옥죄는 것을 물리적으로 부수는 것(The Handmaiden), 기록으로 남는 사랑(Portrait of a Lady on Fire, Love Letter, After Sun) 등이 있다. 어떤 구어적인 설명조차 없는 영상 짜집기 속에서 읽어낼 수 있는 것은 수평적인 플롯이 아닌 사랑의 감각과 느낌, 즉 정동(情動)이다. 사랑은 선물도 주고, 기록을 남기고, 무자비하게 폭력을 가하기도 한다. 

왼쪽의 영상과 번갈아 나오는 파란 화면 위의 텍스트는 < 초자연 이니시에이션 >이라는 제목을 가진 시를 수정하고 순서를 바꾸어 편집을 했다. 시의 화자는 집에 가는 여정을 떠나고 보기만 해도 몸이 움찔거리는 감각을 유발하는 것들 - 구멍이 뚫린 손, 죽은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불쾌한 비행기 - 을 경험한다. 어떤 것을 하고 싶으나 하지 못 하는 상황의 반복이다. 이런 끔찍한 상황과 아이러니 속에서 화자가 욕망하는 것은 사랑이다. ‘당신에 대해 생각나는 것을 적고싶은데 손에 구멍이 너무 많이 생겨서 쓸 수 없’ 는 화자다. 

영상과 텍스트의 교차를 통해 어떤 시너지가 생기는가? 둘의 공통점은 우회를 하는 사람들이 나온다는 것이다. 마지막 샷에 나오는 애프터썬의 칼럼은 캠코더로 촬영을 마치고 뒤를 돌아가며 실존하지 않는 대안적인 공간에서 작별을 하고 텍스트는 사랑하는 사람에 대해 기록할 수 없음을 토로하며 끝난다. 우회의 힘든 여정 끝에 영상과 텍스트 속 인물과 화자는 실패를 겪는다. 영상이 먼저 블랙아웃된 뒤 텍스트가 나오며 끝이 난다. 영상은 여운을 남기지만 문장은 다 읽게 되면 끝이 난다. 둘을 동시에 감상하면서 감상의 시차가 발생한다. 

Exhibited at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Black and White Gallery (A404) on December 1st, 2023.